PRESS. Upcoming
Info. Instagram
박윤주는 서울과 베를린에서 활동한다. '사물의 생동'에 대해 멀티미디어 영상작업을 하고 있다. 사물(오브제)은 운동성, 변이, 차원이동의 과정을 통해 생동(vitality)를 얻게되며,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의미를 찾는다. 최근에는 사물의 정치적, 의미론적인 죽음이후의 생동과 사후세계구현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.
2011년 서울시립미술관 SeMA 신진작가지원으로 ‘사물의 무게의 방향’에 대한 첫 개인전<The Islands>을 발표했다. 2014년 보안여관 개인전 <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>로 공공미술과 미디어, 설치를 결합했다. 그 후 독일에서 공공예술-퍼포먼스와 미디어를 결합하는 실험을 해왔다. 2016년 드레스덴 미술관과 인천아트플랫폼의 동시 개인전인, <자유로운 제로>를 통해 설치-비디오에서 머물던 개념을 공공미술로 확장시켰다. 베를린 골키테어터(2015, 2019), 부헨발트 무지엄(2016, 2017) 베타니엔 스튜디오 베를린(모멘텀 2018)의 협업과 지원을 통해, 공공예술과 미디어, 그리고 참여 퍼포먼스에 대한 전시를 했다. 칼스루에시의 지원으로 제작된 개인전 <보겐라움 프로젝트>(2019)를 통해 퍼포먼스와 공공미술, 비디오의 경계에 대해 고민했다. 2020년 제작한 <비파랑 조각>과 <레드투그레이>은 건축설계와 3D 애니메이션의 방법론을 통해 공공의 영역을 가상세계로 옮겨와 공개성을 이야기했으며,
2021년에는 포르쉐x쾨닉갤러리 베를린과의 협업지원으로 전세계 아이코닉OOH에서 작업을 상영했으며, NFT온라인 전시를 진행했다. 최근 개인전<깨어나보니, 이세계 입실롱>으로는 서울문화재단의 지원으로 실재하는 공공조각품의 디지털화의 가능성을 이야기했다.
PRESS_Article
PRESS_Article
PRESS_Article
네이버 프레스 : 작가 박윤주 작품세계_오정은 비평가
아트앤트립: 공공미술의 새로운 콘텍스트_유투브
김달진 미술연구소 : <가상적 공공영역>_김선영 비평가
금호미술관, 서울문화재단: 《깨어나보니, 이세계 입실롱》 _ 김민지 MMCA고양창작스튜디오 매니저
생생화화, 경기문화재단: <결코 덧없지 않은> _ 정일주 퍼블릭 아트 편집장 서울여성신문: <핑크 투 브라운> 홍경한 강원국제비엔날레 총감독
아트앤트립: 공공미술의 새로운 콘텍스트_유투브
김달진 미술연구소 : <가상적 공공영역>_김선영 비평가
금호미술관, 서울문화재단: 《깨어나보니, 이세계 입실롱》 _ 김민지 MMCA고양창작스튜디오 매니저
생생화화, 경기문화재단: <결코 덧없지 않은> _ 정일주 퍼블릭 아트 편집장 서울여성신문: <핑크 투 브라운> 홍경한 강원국제비엔날레 총감독
PRESS_Exhibition
금호미술관 : 박윤주 개인전 2021 <깨어나 보니, 이세계 입실롱>
PRESS_Exhibition 포르쉐 글로벌 갤러리 OOH전시 <Cone and Wind>
PRESS_Exhibition 쾨닉 갤러리 베를린 NFT전 <junuwana>
PRESS_Exhibition 클립드롭스 카카로 NFT전 <The old man and the Sea>
PRESS_Exhibition 포르쉐 글로벌 갤러리 OOH전시 <Cone and Wind>
PRESS_Exhibition 쾨닉 갤러리 베를린 NFT전 <junuwana>
PRESS_Exhibition 클립드롭스 카카로 NFT전 <The old man and the Sea>